- 다른 근로자에 비해 워킹맘의 업무 몰입도와 유연성이 떨어져
- 워킹맘의 경험과 기술을 인정, 복직을 선호하는 기업도 많아져
전 세계적으로 고용 기회 균등에 대한 불안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업무 공간 솔루션 제공업체인 리저스(Regus)가 전 세계 100만 명 이상의 기업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2010년 8~9월)에 따르면 기업들의 워킹맘 고용 의사가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해에는 응답 기업의 44%가 워킹맘의 고용을 계획했지만, 2011년에는 36%만이 워킹맘을 고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또한 예외가 아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여성노동자 대상 설문에 따르면 산전 후 휴가를 사용한 사람은 10%에 불과하며 이 중 23%는 퇴직압력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이런 결과는 전 세계 여성계의 우려를 낳을 것으로 예상하며, 리저스(Regus)는 전 세계 64%의 기업들이 '왜 여전히 워킹맘 고용을 꺼리고 있는지'에 대한 그 이유도 함께 공개하였다.
소수 기업에서는 워킹맘 고용을 꺼리는 이유에 대해 ▲워킹맘이 다른 근로자에 비해 업무 몰입도와 유연성이 떨어지고(37%), ▲추가 자녀 출산계획으로 인해 퇴사 시기가 빠르며(33%), ▲기술적으로 뒤쳐지기(24%)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복직한 워킹맘의 가치를 인정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72%가 파트타임으로 복직한 워킹맘 그룹을 인력 시장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믿고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또한 조사 대상 기업 중 56%가 워킹맘이 현재 시장에서 찾기 힘든 기술을 갖고 있다고 답했으며, 57%는 높은 연봉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경험과 기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워킹맘의 복직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리저스 (Regus)의 한일 지역 담당 부사장인 제시 큐어(Jessy Kure)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워킹맘이 가정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업무에 몰입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있지만, 이러한 이유로 워킹맘에 대해 고용의 문을 걸어 잠그면 그만큼 가치 있는 인력 시장을 배제하게 된다. 이는 대다수 기업이 동의하고 있는 사실이며 워킹맘을 포용할 수 있는 기업에게 더욱 다양한 기회가 주어진다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업무 환경 개선을 통해 워킹맘들을 고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워킹맘들이 요구하는 내용은 사실 그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모든 직원에게 해당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행히 업무 시간과 공간에 융통성을 주는 것만으로도 보다 생산적인 업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이를 업무에 적용한다면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우는 것은 물론, 생산성 향상과 간접비용 절감의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리저스(Rogus)의 조사는 2010년 8~9월에 걸쳐 리저스(Regus)의 글로벌 연락처 데이터베이스에서 10,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되었으며, 리저스(Regus)의 글로벌 연락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전 세계 100만 명 이상의 기업인은 각 기업의 고위 경영진과 임원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조사는 워킹맘에 대한 고용 의사 및 업무 역할에 대한 질문으로 진행되었으며 마케팅 유케이(MarketingUK)에서 시행 및 관리를 담당했다.
* 리저스(Regus)에 대하여
리저스는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세계 최대의 임대사무실 제공업체이다. 현재 10만명 이상의 고객들에게 융통성 있고 비용 효율적인 근무지 옵션을 제공하여 특정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완벽히 가구가 구비된 리저스 사무실, 가상오피스, 회의실, 혹은 화상회의 시설을 전 세계 주요 도시 및 비즈니스 허브의 뛰어난 위치에서 제공하고 있다.
Relations News |
댓글 없음:
댓글 쓰기